본문 바로가기

## 도시계획 ##

농지법 위반

농지법 위반이란?

농지법 위반은 농지를 목적과 다르게 사용하거나,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않고 소유·임대하는 등의 행위를 말합니다. 대한민국 「농지법」(제정 목적: 농지의 효율적 이용과 보전, 경자유전의 원칙 유지)에 따라, 농지는 원칙적으로 농사를 짓는 사람만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
주요 농지법 위반 사례

  1. 비농업인의 농지 소유
    •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이 농지를 취득하거나 보유하는 경우
    • 농지취득자격증명 없이 농지를 매입하는 경우
  2. 무단 전용(불법 형질변경)
    • 농지를 주택, 공장, 창고, 주차장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
    • 불법적으로 농지를 메우거나 훼손하는 경우
  3. 불법 임대 및 전대(재임대)
    •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농지를 임대하거나 제3자에게 전대하는 경우
  4. 농지 이용 의무 위반
    • 농지를 취득한 후 직접 농사를 짓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
    • 3년 이상 농사를 짓지 않으면 ‘농지 처분 의무’가 발생할 수 있음
  5. 농지전용허가 없이 농지 전용
    • 농지를 전용하려면 농지전용허가(또는 신고)가 필요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사용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

농지법 위반 시 처벌 및 행정조치

  1. 형사처벌
    • 농지법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부과 가능 (농지법 제57조)
  2. 이행강제금 부과
    • 불법적으로 전용된 농지에 대해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,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매년 이행강제금(위반 면적의 공시지가 기준 부과)이 부과될 수 있음
  3. 농지 처분 명령
    • 비농업인이 취득한 농지는 처분 명령이 내려질 수 있으며, 처분 기한 내 매각하지 않으면 강제 처분(공매 등) 될 수 있음

농지법 위반을 방지하려면?

  • 농지를 취득하기 전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반드시 확인
  • 농지전용 시 사전 허가 및 신고 절차 준수
  • 불법 임대 및 무단 방치 주의

농지법 위반은 적발될 경우 강한 행정 조치와 처벌을 받을 수 있으므로, 농지 이용 및 취득 시 관련 법규를 철저히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 😊